UPDATED. 2024-09-30 10:10 (월)
정자은행 통해 얻은 아이에게 ‘사실 알리겠다’ 13년 전보다 10배 증가
정자은행 통해 얻은 아이에게 ‘사실 알리겠다’ 13년 전보다 10배 증가
  • 푸드앤메드
  • 승인 2018.01.10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난임부부의 5%만 ‘정자은행 통해 인공수정하겠다’고 응답
-비배우자 인공수정의 최대 불안 요인은 ‘기증 정자의 안전성’
-부산대병원 박남철 교수팀, 전국 난임부부 247명 분석 결과


배우자가 아닌 정자은행에서 받은 정자를 통해 낳은 아기에게 나중에 ‘사실을 알리겠다’는 응답률이 13년 새 10배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한국 사회도 비(非)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다.

부산대병원 비뇨기과 박남철 교수팀이 2016년 10∼11월 산부인과를 방문한 서울 등 전국의 난임부부 247명에 대해 1 대 1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정자 기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난임 부부 인식조사)는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연구결과 의학적으로 배우자의 정자론 임신이 불가능할 경우 ‘아이 없이 지내겠다’는 응답률이 51%(126명)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입양 하겠다’(14.6%), ‘정자은행을 통해 비배우자 인공수정으로 임신을 시도하겠다’(4.9%) 순이었다.

난임부부 10명 중 8명은 난임 치료 목적의 정자은행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러나 비배우자 인공수정이 필요한 난임 부부를 위해 자신이나 지인에게 자발적 정자기증을 권유하겠다는 응답률은 21.5%에 그쳤다.

박 교수팀은 논문에서 "(정자은행을 통한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선호도가 입양보다 낮은 것은) 정자은행에 대한 불신이 아직 우리 사회에 남아 있음을 보여준다“고 "정자 기증에 대해서도 난임부부 10명 중 2명 정도만이 긍정적으로 인식해 향후 정자 기증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과 함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과거엔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정보를 의사로부터 가장 많이 얻었으나(2003년 37.5%, 2014년 39.5%) 이번 연구(2016년)에선  TVㆍ라디오 등 대중 매체를 접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49.6%).

이번 연구에 참여한 난임부부의 66.8%는 비배우자 인공수정을 원하는 가장 큰 이유로 ‘완전한 가족을 형성하기 위해서’를 꼽았다.

비배우자 인공수정의 최대 불안 요인은 ‘기증 정자의 안전성’(24.0%)이었다. ‘타인의 시선’(12.7%), ‘외모를 닮지 않을 가능성’(10.3%), ‘비밀 보장’(7.4%), ‘혈액형의 불일치’(2%) 등도 신경 쓰이는 대목으로 지적됐다.

비배우자 인공수정으로 태어난 아기가 자란 후 ‘사실을 아이에게 알리겠다’는 응답률은 과거 연구에선 10%가 되지 않았지만(2003년 4.0%, 2014년 9.0%), 이번 연구에선 42.8%로 급증,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대중의 의식 변화를 보여줬다.

한편 국내에서 동결 정자를 이용한 비배우자 인공수정은 1983년 고려대 의대에서 최초 시도돼 1986년 첫 출산이 이뤄졌다. 현대적 개념의 개방형 정자은행은 1997년 부산대병원, 2000년 서울대병원, 2003년 전남대병원에서 설립됐다. 그러나 2005년 생명윤리법 시행과 함께 기증 정자를 이용한 비배우자 인공수정은 크게 위축된 상태다. 최근엔 정자 기증자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수철 기자 sco624@foodnmed.com

(저작권 ⓒ ‘당신의 웰빙코치’ 데일리 푸드앤메드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