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12 13:29 (화)
겨울에 광채를 발하는 뿌리채소 더덕
겨울에 광채를 발하는 뿌리채소 더덕
  • 푸드앤메드
  • 승인 2019.01.31 13: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촌진흥청이 1월의 식재료로 선정


-요리할 때는 수컷의 맛이 더 좋아




온갖 생물이 휴지기에 들어가는 겨울에 홀로 ‘광채’를 발하는 뿌리채소가 있다. 더덕이다. 농촌진흥청은 최근 1월의 식재료로, 곶감ㆍ찹쌀과 함께 더덕을 선정했다.

 열매가 더덕더덕 붙어 있다고 해서 ‘의태어’ 식물명을 갖게 됐다. 더덕은 이두 문자론 ‘가적’이다. 조선시대에 출간된 ‘향약채취월령’ㆍ‘향약집성방’엔 가덕(加德)이라 표기돼 있다. ‘더할 가’에서 ‘더’, ‘덕 덕’을 더해 더덕이 됐다는 설도 있다.  ‘명물기략’에선 더덕을 사삼이라 불렀다. 양유(羊乳)ㆍ문희(文希)ㆍ식미(識美)ㆍ지취(志取)란 별명도 갖고 있다.

 옛 사람도 더덕 좋은 줄은 알았다. 조선 후기 실학자가 쓴 ‘해동역사’엔 “고려시대에 더덕을 나물로 만들어 먹었다”는 대목이 나온다. 우리 민족이 고려 때부터 더덕을 먹기 시작했다는 뜻은 아닐 것이다. ‘증보산림경제’엔 “2월에 더덕을 옮겨 심는다”고 기술돼 있다. 이는 자연산만으론 부족해서 더덕을 직접 재배했음을 시사한다.

 조선의 광해군 때는 “처음엔 사삼 각로(閣老)의 권세가 중(重)하더니 지금은 잡채 상서(尙書)의 세력을 당할 자가 없구나”란 노래가 민간에서 돌았다.  여기서 사삼각로(더덕 정승)는 좌의정 한효순, 잡채 상서는 호조판서 이충을 가리킨다.

 임금에게 각각 더덕요리와 잡채를 바쳐 출세했다는 조롱 섞인 가사다. “한효순의 집에선 더덕으로 밀병(蜜餠, 꿀떡)을 만들었다”고 한다(광해군 일기). 왕마저 매료시킨 더덕은 한 겨울이 제철이다. 대개 늦가을부터 이듬해 봄에 싹이 나오기 전까지 캔 뿌리를 먹는다.

 요즘은 중국인도 먹는다. 원래는 한국인이 유독 선호하는 채소다. 송나라 사신으로 고려를 다녀간 서긍은 ‘고려도경’에서 “밥상에 더덕이 자주 오르는데 크기가 크고 살이 부드러우며 맛이 기막히다”고 썼다. 한반도 전 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하지만 제주ㆍ강원 횡성과 중ㆍ남부 평야 지대에서 잘 자란다.

 겉모양은 도라지를 닮았다. 도라지는 더덕보다 쓴맛과 향이 적고 골이 낮고 가늘다. 진액이 나오지 않거나 적게 나온다. 더덕은 독특한 향과 맛이 있고 골이 깊다. 잘랐을 때 진액이 나온다. 도라지보다 연하고 향기로워 우리 선조는 더덕을 훨씬 귀히 여겼다.

 흙과 껍질, 흰 진액 탓에 손질하기가 까다롭지만 추운 겨울을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선 더덕은 꼭 챙겨야 할 식품이다.

 더덕은 자연산과 오래된 것일수록 향과 약성(藥性)이 강하다. 요즘 시장에 나온 것은 대부분 재배 더덕이다. 양식 더덕은 맛이 담백해 요리에 쓰기엔 자연산보다 낫다.

 뿌리 모양에 따라 암컷과 수컷으로 나뉜다. 잔뿌리가 많고 통통한 것이 암컷, 매끈하고 길게 생긴 것은 수컷이라 불린다. 요리해 먹을 때는 수컷의 맛이 더 좋다.

 뿌리를 주로 먹지만 잎도 식용 가능하다. 새순을 살짝 데치거나 생채를 길게 썰어 비빔밥ㆍ볶음밥ㆍ채소 무침 등에 넣으면 잘 어울린다. 잎이 큰 것은 말려서 차로 만들어 마셔도 좋다.

 말린 더덕 뿌리를 사삼(沙蔘)이라 한다. 모래에서 캔 삼이란 뜻이다. 주로 반찬으로 먹는데도 이런 별명이 붙은 것은 우리 조상이 더덕의 약성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다.

 약효 성분은 사포닌이다. 사포닌은 인삼ㆍ산삼에도 들어 있는 쓴맛 성분이다. 뿌리를 자르면 나오는 흰 액이 사포닌이다. 사포닌은 기침을 멎게 하고, 가래를 삭이는 효과가 있다. 이를 근거로 한방에선 더덕을 기관지 폐렴ㆍ천식ㆍ편도선염ㆍ인후염 등 호흡기 질환 치료를 돕는 약재로 친다. 사포닌이 폐 기운을 돋운다고 봐서다. 사포닌은 염증ㆍ궤양을 치유하고 담을 없애며 침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덕에 풍부한 식이섬유는 장 건강, 특히 변비 예방에 효과적이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 홍만선은 ‘산림경제’에서 “더덕이 변비에 좋다”고 했다. 과거엔 산모의 젖이 잘 나오지 않을 때 더덕을 권했다. 더덕을 젖나무로 표현한 중국 문헌도 있다.

 단맛과 쓴맛을 함께 갖고 있다. 씹을수록 진한 향이 남는 것이 특징이다. 흔히 고추장 양념을 발라 구워 먹지만 이른 봄에 나는 연한 뿌리는 잘게 찢어 무쳐 먹어도 맛있다.

 영양적으론 저(低)열량 식품이다. 100g당 열량이 78㎉에 불과해 다이어트 중인 사람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다당류의 일종인 이눌린이 풍부하다는 것도 돋보인다. 이눌린은 혈당 조절을 도와 ‘천연 인슐린’으로 통한다. 당뇨병 환자에게 더덕이 이로운 것은 이 때문이다. 칼륨(고혈압 예방)ㆍ칼슘(뼈ㆍ치아 건강 유지)도 많이 들어 있다. 궁합이 잘 맞는 식품으론 술과 고추장이 꼽힌다. 술의 주성분인 알코올은 더덕의 웰빙 성분인 사포닌을 더 많이 우러나게 한다. “장가 두 번 가는 것보다 더덕주 한 잔이 더 좋다”는 속담이 재미지다.

 오는 설날엔 더덕주ㆍ더덕요리를 일가친척에 대접해 그들의 무사 겨울나기에 일조하면 어떨까?





강윤지 기자 dkttkd@foodnmed.com

(저작권 ⓒ ‘당신의 웰빙코치’ 데일리 푸드앤메드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