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01 09:10 (월)
제철 맞은 동해의 진객 양미리
제철 맞은 동해의 진객 양미리
  • 푸드앤메드
  • 승인 2019.01.31 14:03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해 양미리의 정확한 이름은 까나리


-고성ㆍ주문진ㆍ속초ㆍ삼척 등이 주산지



동해의 진객(珍客) 양미리가 요즘 제철을 맞았다. 양미리는 이름부터 유별나다. ‘양’과 ‘미리’의 합성어로 양(洋)은 바다, 미리는 용처럼 생긴 미꾸라지를 일컫는다. 이를테면 ‘바다 미꾸라지’인 셈이다. 등이 푸르고 배는 은백색이며 주둥이가 뾰족해 미꾸라지보다 꽁치에 더 가깝다.

 동해안에서 양미리라고 부르는 생선의 정확한 이름은 까나리다. 서해안의 까나리와 동해안의 양미리는 같은 생선이다. 양미리나 앵미리는 까나리의 강원도 방언인 셈이다. 서해안에선 주로 봄에 어린 까나리를 잡아 젓갈을 담그고 동해안에선 겨울에 성숙한 까나리를 잡아 굽거나 찌개를 끓이거나 졸여서 먹는다. 남해안에서도 큰 까나리를 양미리, 어린 새끼를 ‘휜 멸치’ 즉, 곡멸(曲蔑, 말리는 도중 모양이 휘어져서)이라 부른다. 정약전의 '자산어보'(玆山魚譜)엔 공멸(工蔑)이라 기록돼 있다. 멸치와 비슷한 생선으로 여긴 것이다. 말린 까나리는 건(乾)멸치 대신 쓰기도 한다. 양미리라는 생선은 따로 있다. ‘진짜’ 양미리는 까나리보다 크기가 작고 초여름에 알을 낳는다.

 동해의 겨울 양미리는 한국ㆍ일본ㆍ사할린ㆍ오호츠크 해 등에서 잡히는 한류성(寒流性) 바다 생선으로 몸길이는 10∼20㎝다. 일반적으로 동해에서 잡히는 것은 길이가 20㎝ 이상으로 10~15㎝인 서ㆍ남해안산(産)보다 크다. 이 때문에 동해 양미리는 서ㆍ남해 까나리와 다른 어종(魚種)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국내에선 강원도 고성ㆍ주문진ㆍ속초ㆍ삼척 등이 양미리의 주산지이다. 이중 고성ㆍ주문진산(産)은 12월에 주로 잡히고 씨알이 잘은 편이다. 삼척산은 1월이 절정이며 씨알이 굵다. ‘양미리 축제’가 열리는 속초는 ‘양미리 부두’가 따로 있을 만큼 양미리 잡이가 성행한다. 씨알도 굵다.

 동해 양미리의 산란기는 겨울∼초봄 사이다. 해수 온도가 떨어지면 연안에 바싹 붙어 알을 낳는데 이때를 맞춰 그물로 거둔다. 양미리는 평소 굵은 모래 속에 몸을 감추고 산다. 움직임이 적은 ‘귀차니스트’형 생선으로 여름에 수온이 높을 때는 모래 속에 파묻혀 여름잠을 잔다. 영문명(sand lance, ‘모래 작살’이란 뜻)에 모래가 포함된 것은 그래서다. 양미리는 동트기 전에 먹이를 잡아먹기 위해 모래에서 물 위로 한 번씩 튀어 오르는 습성이 있는데 이를 간파한 어민들이 미리 바닥에 깔아놓은 그물에 그대로 꽂힌다. 어선이 그물을 육지에 내려놓으면 쪼그리고 앉아 양미리를 그물에서 떼어내는 아낙네의 모습은 겨울철 동해안의 진경이다. 이런 작업을 동해안에선 ‘양미리 딴다’, ‘양미리 베낀다’라고 한다. ‘양미리 따기’의 노하우는 그물 사이에 촘촘히 박힌 양미리를 생채기 내지 않고 빼내는 것이다.

 양미리는 예부터 서민의 생선이다. 한때 ‘싸구려 생선’으로 소비자는 물론 어민에게도 홀대 받았지만 요즘은 웰빙 수산물로 뜨고 있다.

 무엇보다 등 푸른 생선이란 점이 높이 평가된다. 고등어ㆍ꽁치ㆍ정어리 등 다른 등 푸른 생선과 마찬가지로 혈관 건강에 이로운 DHAㆍEPA 등 오메가-3 지방(불포화 지방의 일종)이 풍부하다.

 멸치 못지않게 칼슘이 풍부한데다(생것 100g당 371㎎, 멸치는 509㎎, 전어 210㎎, 우유 105㎎) 멸치ㆍ전어처럼 뼈째 먹기 때문에 칼슘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어 어린이 성장발육에 효과적이다.

 단백질(100g당 17.6g)ㆍ철분(빈혈 예방)이 풍부한 것도 영양상 장점이다.

여느 등 푸른 생선과는 달리 맛은 담백한 편이다. 맛의 절정기는 산란기를 맞은 요즘이다. 특히 바다에서 갓 잡아 올린 싱싱한 양미리에 굵은 소금을 뿌린 뒤 내장을 꺼내지 않고 즉석에서 구워먹는 소금구이의 맛은 별미다.

 요즘 잡은 암컷의 몸엔 ‘살 반 알 반’이라 할 만큼 알이 가득하다. 알은 구우면 입안에서 풀어지고 말린 것을 찌개에 넣거나 졸이면 약간 쫀득한 식감이 난다.

 수컷엔 하얀 정액 덩어리(이리)가 들어 있다. 씹어 먹으면 고소한 맛이 느껴진다.

 양미리는 생으로 굽지 않으면 구득하게 말려 찌개에 넣어 먹는 것이 가장 맛있다.

 꾸덕꾸덕 말린 것을 3㎝ 정도로 토막 낸 뒤 양념간장에 조려 반찬으로 밥상에 올리면 겨울철 영양 반찬으로 일품이다. 입맛을 잃은 노인이나 어린이의 보양식, 애주가의 술안주용으로 그만이다. 칼국수ㆍ회ㆍ찌개 등 다양한 요리법이 있으며 ‘바다 미꾸라지’라는 별명답게 갈아서 추어탕처럼 끓여 먹기도 한다. 강릉에선 간장ㆍ청주ㆍ마늘ㆍ생강 등으로 양념한 조림을 별미로 친다.





고민희 기자 kkmmhh@foodnmed.com

(저작권 ⓒ ‘당신의 웰빙코치’ 데일리 푸드앤메드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유령 2021-01-06 12:43:13
양미리와 까나리는 엄연히 다른 생선입니다. 잘못된 정보를 이렇게 당당하게 올려놓다니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