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01 09:10 (월)
장마철 고개 내민 ‘야생버섯’ 함부로 먹지 마세요
장마철 고개 내민 ‘야생버섯’ 함부로 먹지 마세요
  • 박하연
  • 승인 2021.07.13 17: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독버섯 여부 구분 어렵고, 민간 속설도 과학적 근거 없어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무분별한 야생버섯 섭취로 인한 중독사고 발생 빈도가 늘어나는 장마철을 맞아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덥고 습한 장마철에는 버섯이 자라기 쉬운 환경이 조성, 중독사고의 발생 빈도도 증가한다.

지금껏 알려진 우리나라 자생 버섯은 1,900여 종으로, 이 가운데 먹을 수 있는 버섯은 400여 종(21%)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1,500종은 독이 있거나 식용이 불분명한 버섯이다.

지난해 10월에는 경기도 포천의 일가족 8명이 야생버섯을 나눠 먹은 뒤 식중독을 일으키는 사고가 발생했다. 같은 달 경기도 가평에서는 50대 부부가 버섯을 먹은 후 복통∙구토∙설사 등 증세를 일으켜 병원으로 옮겨지기도 했다.

장마철에 발생하는 야생버섯은 종류가 다양하고, 발달 단계, 환경 등에 따라 여러 형태를 나타내므로 겉모양만으로 독버섯과 식용버섯을 구분하기는 불가능하다.

독우산광대버섯은 장마철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독버섯으로 아마톡신(amatoxin) 균 독소를 지니고 있다. 아마톡신은 호흡기 자극∙두통∙현기증∙메스꺼움?호흡곤란∙설사∙위장 장애 등을 일으키고, 간∙심장 등 여러 장기를 훼손해 심하면 사망에까지 이르게 한다.

이러한 독우산광대버섯은 식용버섯인 흰주름버섯과 형태가 비슷해 이를 혼동한 중독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독버섯인 개나리광대버섯은 식용버섯인 노란달걀버섯과 비슷한 노란 우산 형태를 지녀 혼동하기 쉽다.

‘곤충이 먹은 흔적이 있는 버섯은 먹을 수 있다’ 또는 ‘은수저를 변색시키지 않는 버섯은 식용할 수 있다’ 등 야생버섯의 식용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흔히 쓰이는 민간 속설에는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

중독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야생버섯을 먹지 않는 것이 좋으며, 이미 섭취해 증상이 발생했다면 빨리 토하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섭취한 독버섯을 가지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장갑열 과장은 “전문가가 아닌 이상 야생버섯 섭취는 항상 중독사고의 위험성을 안고 있다”라며, “되도록 농가에서 생산한 안전하고 신선한 버섯을 섭취하길 당부드린다”라고 밝혔다.

 


박하연 기자 mintyeon34@foodnmed.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