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01 09:10 (월)
나노입자를 이용한 광열 암 치료법 임상적용 성큼….
나노입자를 이용한 광열 암 치료법 임상적용 성큼….
  • 박하연
  • 승인 2021.10.14 16: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3차원 바이오프린팅∙전산 생물리 해석 기술 활용 광열 암 치료모델 개발
- KBSI-POSTECH-KAERI 공동연구, 광열 암치료 해법 제시
- 국제 학술지 AHM(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개제

 

 

(왼쪽부터) KBSI 연구장비개발부 남기환 선임연구원 (제1저자/ 공동교신저자), 배지용 선임연구원(공동교신저자), 장기수 책임연구원(공동교신저자)
(왼쪽부터) KBSI 연구장비개발부 남기환 선임연구원 (제1저자/ 공동교신저자), 배지용 선임연구원(공동교신저자), 장기수 책임연구원(공동교신저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원장 신형식, 이하 KBSI)은 연구장비개발부 남기환·배지용·장기수 박사 연구팀이 인간 생체조직 내 금나노입자의 광열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 이를 기반으로 정상조직과 암조직의 열적 손상정도를 정밀 예측할 수 있는 광열 암 치료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로 나노입자를 이용한 표적 암광열  치료 모델을 개발함에 따라, 수술이나 항암제 없는 유방암과 피부암 치료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는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 이하 KAERI) 첨단방사선연구소 권희정 박사 연구팀, 포항공과대학교(총장 김무환, 이하 POSTECH)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로 진행, 재료과학과 의료공학분야의 저명 학술지인 AHM(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최근호에 개제됐다. 

나노입자를 이용한 광열 암 치료란 나노입자에 특정파장의 빛을 조사, 이때 생성된 열의 제어를 이용해 국소부위에 위치한 암세포들을 사멸시키는 치료법으로, 정상세포보다 열에 약한 암세포의 특성을 이용한다. 기존의 외과적 수술∙화학적 치료∙방사선 치료와 달리 정상조직의 손상없이 암 조직만을 선택적으로 사멸할 수 있어 차세대 암 치료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연구수준이 아닌 실제 임상환경에서 최적의 광열치료 조건을 찾아낸 것으로, 바로 임상적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암에 대한 광열치료 모델 개발에 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광열 암 치료의 임상적용에 있어 가장 중요한 관건은 정상조직의 손상없이 암 조직만을 선택적으로 사멸, 치료후 암의 재발이나 다른 조직으로의 암세포 전이가 없도록 완전히 사멸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표적한 암 조직만을 완전히 사멸할 수 있는 최적의 치료조건을 찾기 위선는 레이저의 출력과 조사시간, 레이저가 전파되는 주변 생체조직의 성질과 구성상태, 나노입자의 기하학적 형태나 구성에 따른 광열특성, 암병소에 최종 도달된 나노입자의 수량, 암조직의 위치, 크기, 암세포의 종류 등 다양한 가변적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에 공동연구팀은 생체와 유사한 환경에서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도록 3차원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도입, 살아있는 사람의 유방암세포를 생체재료로 활용한 인공 생체조직체를 제작했다.   

KBSI 남기환·배지용·장기수 박사 연구팀은 인간 생체조직체 내 금나노입자의 광열실험과 전산 생물리 해석을 수행하여 광열 암 치료모델 개발을 담당했고, KAERI 권희정 박사 연구팀과 생체조직의 내열손상 예측모델 개발, POSTECH 조동우 교수 연구팀과 3차원 바이오 프린팅 기술을 응용한 3D 생체조직 설계와 제작 실험을 공동으로 진행했다. 

 제1저자이자 공동교신저자인 KBSI 남기환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광열 암치료 모델은 활용 가능성 수준에서만 논의되던 광열 암 치료를 실제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며, “향후 의료계에서 광열 암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공동교신저자인 KBSI 배지용·장기수 박사는 “이번 성과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3차원 바이오프린팅 기술과 전산 생물리 해석 기술의 융합을 통해 생체 내 나노입자의 광열특성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기법을 개발함에 따른 결과”라며, “이번 연구에서 다룬 유방암 치료는 물론, 다양한 암에 대한 광열 암 치료 모델을 개발하는 후속연구를 이어나갈 것이다”라고 앞으로의 포부를 밝혔다.

본 연구는 ‘KBSI 분석과학 연구장비개발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한국연구재단의 ‘이공학 기초연구사업’, ‘방사선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박하연 기자 mintyeon34@foodnmed.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