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09:43 (목)
7월12일 초복을 시작으로 본격 시작되는 삼복 더위에 좋은 음식은?
7월12일 초복을 시작으로 본격 시작되는 삼복 더위에 좋은 음식은?
  • 박태균
  • 승인 2019.07.01 09: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월12일 초복을 시작으로 본격 시작되는 삼복 더위에 좋은 음식은?
7월12일 초복을 시작으로 본격 시작되는 삼복 더위에 좋은 음식은?

 

-  “복날은 양기에 눌려 음기가 엎드려 있는 날”

-복날 보양 위한 대표 식재료, 개고기ㆍ닭고기ㆍ민어ㆍ팥 

 

7월12일 초복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삼복 더위가 시작될 것이다.

‘복달임’이란 말이 있다. 두가지 뜻으로 쓰인다. 하나는 복(伏)이 들어서 기온이 지나치게 더운 시기, 즉 복달을 가리킨다. 다른 하나는 복날에 그해의 더위를 물리치기 위해 고기국을 끓여 먹는 것이다. 
 무더위가 절정에 달하는 초복ㆍ중복ㆍ말복을 통틀어 삼복이라 한다. 삼복은 양기가 성한 날이다.
 조선 선조 때의 학자 이수광이 쓴 지봉유설엔 “복날은 양기에 눌려 음기가 엎드려 있는 날”이라 기술돼 있다. 우리 선조는 삼복을 더위에 지쳐 허해진 몸을 보하는 날로 여겼다. 이런 관습은 지금도 전해져 복날이면 음식점마다 복달임을 즐기려는 사람으로 장사진을 이룬다.
 복날 보양을 위한 음식 재료로 널리 쓰인 것은 개고기ㆍ닭고기ㆍ민어ㆍ팥 등이다.
 개고기는 개장국(보신탕)의 재료다. 동양 의학에선 개고기를 성분이 매우 더워서 양기를 돋구고 허를 보충하는 식품으로 여긴다.
 닭고기는 삼계탕ㆍ닭죽ㆍ임자수탕에 들어간다.
 삼계탕은 닭고기(영계)에 인삼ㆍ황기ㆍ대추ㆍ마늘 등을 넣어 푹 고은 뒤 배보자기에 싼 음식이다. 한방에서 닭고기는 성질이 더운 음식이다. 속을 따뜻하게 해준다. 인삼을 원기를 보충하고, 황기는 땀 흘리는 것을 막아주며, 대추는 장기의 기능을 보호하고, 마늘은 소화를 돕고 해독작용을 하는 식품으로 친다. 따라서 복날에 한사발 먹으면 더위에 지치지 않는다고 믿었다. 인삼ㆍ황기는 성질이 따뜻해서 평소 몸에 열이 많은 사람과는 궁합이 잘 맞지 않는다.
 개성의 양반은 복날, 이열치열의 삼계탕 대신 시원한 임자수탕(荏子水湯)을 즐겨 드셨다. 이 음식은 흰 참깨(임자)와 영계를 재료로 해서 만든 냉 깻국탕이다. 푹 삶아서 기름을 걷어낸 닭고기를 사용해서 맛이 느끼하지 않은 것이 장점이다. 흰깨 대신 검은 깨, 닭고기 대신 오리고기를 써도 괜찮다. 단 몸이 차거나 설사를 하는 사람에겐 추천되지 않는다.
 민어 매운탕은 서울 양반의 복날 음식이다. 복날이 제철인 민어를 손질해 토막내고 애호박ㆍ파ㆍ마늘ㆍ생강으로 양념한 뒤 고추장으로 간을 해서 얼큰하게 끓인 탕이다. 복더위에 ‘민어찜은 일품, 도미찜은 이품, 보신탕은 삼품’이란 말이 있을 정도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엔 “민어는 입과 비늘이 크며 맛이 달다. 익히거나 회로 먹는다”고 쓰여 있다. 한방에선 민어를 개위하고 하방광수한다고 했다. 개위(開胃)는 식욕을 북돋아준다, 하방광수는 배뇨를 돕는다는 뜻이다. 이 생선은 살이 후해서 배불리 먹을 수 있고 소화가 잘된다. 어린이ㆍ노인의 보양식이나 큰 병을 치른 환자의 병후 회복식으로 권할만하다.
 삼복팥죽도 삼복의 시식이다. 팥죽하면 대개 동지팥죽을 떠올리지만 우리 조상은 정월ㆍ복날ㆍ동짓날은 물론 이사한 뒤에 적두죽(팥죽)을 쑤어 드셨다. 삼복에 먹는 죽을 복죽이라 한다. 무더위에 뜨거운 팥죽을 먹은 것은 이열치열의 효과를 기대하고 팥죽의 붉은색이 귀신을 물리쳐준다고 믿어서다. 
 삼복날 즐겨 먹은 떡은 증편(기주떡)이다. 맵쌀가루에 술(막걸리)을 넣어 반죽해 적당히 발효시킨 떡이다. 발효 음식이어서 잘 상하지 않고 맛이 새콤해서 무더위에 잃은 입맛을 되찾는데 유효하다. 우리 선조는 여름에 시루떡ㆍ인절미는 쉽게 상한다는 사실을 알고 이를 기피했다. 무릎을 탁 치게 하는 생활의 지혜다.

박태균 fooding123@foodnmed.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