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559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청소년의 패스트푸드 패턴 식사 비율, 최근 12년 새 두 배 증가 청소년의 패스트푸드 패턴 식사 비율, 최근 12년 새 두 배 증가 최근 12년 새 패스트푸드 패턴의 식사를 하는 청소년의 비율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같은 기간 건강 한식 패턴이나 서양식 패턴의 식사를 하는 청소년의 비율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29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국민대 식품영양학과 백인경 교수팀이 2007∼2018년 12년 새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청소년(13∼18세) 5,197명을 대상으로 식사패턴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청소년 식사패턴 추이와 흡연 및 음주행동, 식행동과의 관련성 분석: 2007-2018년 국민건강영 생활습관 | 박하연 | 2022-04-29 16:42 간 건강 지표인 ALT 수치 위험 수준 청소년, 전체의 4% 간 건강 지표인 ALT 수치 위험 수준 청소년, 전체의 4% 간(肝) 건강의 지표인 ALT(알라닌 아미노 전이효소) 수치(높을수록 간세포 손상이 심하다는 뜻)가 비(非)알코올성 지방간 우려 수준에 이르는 청소년의 비율이 4%에 근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비만한 청소년은 ALT 증가 위험이 15배나 컸다. 28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의정부 을지대병원 가정의학과 허연 교수팀이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청소년(12∼18세) 1,417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한국 청소년에서 Alanine Aminotransferas 생활습관 | 박하연 | 2022-04-28 11:38 1인 가구는 다인 가구보다 골초 위험 1.5배 1인 가구는 다인 가구보다 골초 위험 1.5배 1인 가구는 다인 가구보다 골초(고도 흡연)가 될 위험이 1.5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일찍 담배를 피우기 시작했거나 배우자가 있는 남성에서 고도 흡연 위험이 더 컸다. 25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영남대병원 가정의학과 이근미 교수팀이 2010∼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남녀 중 현재 흡연자 7,984명을 가구원 수별로 나누고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고도 흡연과 위험요인 비교)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현재 흡연 성인의 하루 생활습관 | 박하연 | 2022-04-25 09:21 중년의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중년의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중년 남녀의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활동 제한인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은 걷기와 스트레스였다. 활동 제한이 있거나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으면 삶의 질이 떨어지고, 걷기를 할 수 있으면 삶의 질이 올라간다는 의미다. 11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목포대 간호학과 최소은 교수팀이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공동 주관한 2017년 한국의료패널 조사에 참여한 중년(40∼64세) 4,711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 관련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중년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건 생활습관 | 박하연 | 2022-04-11 13:53 여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율 남학생의 1.5배 여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율 남학생의 1.5배 여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남학생보다 1.5배나 많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스마트폰 과의존은 성별과 관계없이 우울 증상과 외로움에 영향을 받았다.31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경성대 간호학과 이재영 교수가 질병관리청의 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참여한 12∼18세 청소년 5만7,925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 관련 분석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한국 청소년의 외로움과 우울 증상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는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이 연구는 코로나-19가 생활습관 | 푸드앤메드 | 2022-04-01 13:29 허리둘레 정상이면 골다공성 골절 위험 10% 감소 허리둘레 정상이면 골다공성 골절 위험 10% 감소 비만이라도 허리둘레가 정상이면 골다공성 골절 위험이 10%가량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엉덩이 골절 위험은 25%나 낮아졌다. 10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팀이 2002∼2015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해 40대 후반 이상 여성 14만3,673명의 비만도와 골절 위험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Risk of Osteoporotic Fractures Among Obese Women Based on Body Mass Index and Waist 생활습관 | 박하연 | 2022-03-14 11:59 심장병 가족력 있어도 대부분은 음주ㆍ흡연 ‘그대로’ 심장병 가족력 있어도 대부분은 음주ㆍ흡연 ‘그대로’ 협심증ㆍ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장병 가족력이 있는 사람도 음주ㆍ흡연 등 생활 습관에서 가족력이 없는 사람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혈압을 높이는 나트륨 섭취량은 오히려 심장병 가족력이 있는 사람에게서 더 많았다.24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한국원자력의학원 가정의학과 고영진 과장팀이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남녀 1만3,06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허혈성 심장질환 가족력이 건강 행태에 미치는 영향)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생활습관 | 박하연 | 2022-02-24 09:26 암 생존자 4명 중 1명은 폭음 중 암 생존자 4명 중 1명은 폭음 중 암 생존자 4명 중 1명 이상이 폭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폭음을 자제하지 못했다.2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심재용 교수팀이 2016∼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1만1,388명을 대상으로 폭음ㆍ과음 등 고위험 음주와 사회ㆍ경제적 요인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한국 암환자에서 고위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6∼2017))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이 생활습관 | 박하연 | 2022-02-24 09:20 청소년 9명 중 1명이 범불안장애 고위험 그룹 청소년 9명 중 1명이 범불안장애 고위험 그룹 국내 청소년 9명 중 1명이 범불안장애 고위험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경제적 상태에 변화가 있는 청소년의 범불안장애 유병률이 변화가 없는 청소년보다 1.1배 높았다. 16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인천가톨릭대 간호대 임수진 교수가 2020년 질병관리청의 온라인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참여한 전국의 중ㆍ고교 800곳에 재학 중인 청소년 5만4,948명을 대상으로 범불안장애 유병률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한국 청소년의 범불안장애 관련 요인)는 대한보건협회가 발 생활습관 | 박하연 | 2022-02-16 09:21 중학생의 가당음료 섭취량 늘면서 칼슘 부족 상태 심화 중학생의 가당음료 섭취량 늘면서 칼슘 부족 상태 심화 중학생의 가당음료 섭취량이 늘면서 칼슘 섭취량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밝혀졌다. 중학생이 가장 선호하는 가당음료는 탄산음료ㆍ과일주스ㆍ스포츠음료 순서였다.8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공주대 기술ㆍ가정교육과 김선효 교수가 2007∼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남녀 중학생 2,543명을 대상으로 가당음료 섭취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중학생의 가당음료 섭취량 변화 추이와 가당음료 섭취 수준에 따른 영양상태 평가: 2007~2015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최근 생활습관 | 박하연 | 2022-02-08 09:14 코로나 이후 청소년 정신건강 지표는? 코로나 이후 청소년 정신건강 지표는? 코로나-19 유행 이후 중ㆍ고생의 스트레스ㆍ우울ㆍ자살 생각 등 정신건강의 지표는 개선된 것으로 밝혀졌다. 아침을 거르는 비율은 늘고 과일 섭취량은 감소했다. 26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수원대 간호학과 권민 교수팀이 2019∼2020년 질병관리청의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에 참여한 중ㆍ고생 등 청소년 11만2,251명의 정신건강 지표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청소년의 건강행태 비교: 2019~2020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이용한 2차 자료분석)는 한국학 생활습관 | 박하연 | 2022-01-26 09:13 노인 되면 잠 짧아진다? 리얼리? 노인 되면 잠 짧아진다? 리얼리? 흔히 노인이 되면 수면시간이 짧아진다고 알려졌지만 지나치게 짧거나 길게 잠을 잘 가능성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긴 수면은 남성 노인, 짧은 수면은 여성 노인에서 더 잦았다. 1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단국대 간호학과 오진주 교수가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남녀 4,488명을 대상으로 수면시간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우리나라 노인의 수면시간 영향요인 : 국민건강영양조사 7기 자료)는 대한보건협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대한보건연구’ 최근 생활습관 | 박진호 | 2022-01-13 11:55 외모 가꾸기에 빠진 여고생, 살찌기 쉬운 식품 오히려 더 많이 섭취 외모 가꾸기에 빠진 여고생, 살찌기 쉬운 식품 오히려 더 많이 섭취 자신의 외모 가꾸기에 신경을 많이 쓰는 여고생이 운동이나 아침 결식은 더 많이 하지만, 단 음식ㆍ간식ㆍ가공 음료 등 살찌기 쉬운 식품은 오히려 더 즐기는 것으로 밝혀졌다. 학교에 가기 전에 가장 많이 하는 행동은 외모 가꾸기에 빠진 여고생은 화장, 외모 가꾸기에 관심이 적은 여고생은 아침 식사였다. 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공주대 식품영양학과 김미현 교수팀이 2019년 5월 인천 지역의 여고생 58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인천 지역 여자 고등학생의 외모 가꾸기 생활습관 | 정은자 | 2022-01-03 09:52 코로나 이후 여성ㆍ젊은 세대가 운동 등 신체 활동 더 많이 줄였다 코로나 이후 여성ㆍ젊은 세대가 운동 등 신체 활동 더 많이 줄였다 코로나-19 대유행 시작 이후 여성ㆍ청년층이 운동 등 신체 활동을 더 많이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우울감이 있거나 비만한 사람의 신체 활동도 코로나 이후 감소했다. 22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경북대 의대 김건엽 교수팀(예방의학)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인 2020년 대구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6,91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전후의 운동 등 신체 활동의 증감 상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COVID-19 대유행으로 인한 대구시민의 신체활동 변화와 영향요인)는 한국보건정보통 생활습관 | 박하연 | 2021-12-22 09:16 근력운동 후 우유 섭취가 권장되는 이유는? 근력운동 후 우유 섭취가 권장되는 이유는? 아령ㆍ바벨ㆍ웨이트 머신 등 저항성 운동(근력운동) 후의 근육 회복에 유청 단백질 등 우유 단백질이 효과적이란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제시됐다. 근육운동 후의 단백질 공급 식품으로 소화ㆍ흡수가 빨라 체내 류신(아미노산의 일종)과 근육 단백질 합성(MPS)을 촉진하는 유청 단백질(우유 단백질의 일종)을 추천했다. 9일 한국식품커뮤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건국대 글로컬 캠퍼스 김주영 교수팀은 한국문화융합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 ‘문화와 융합’ 최근호에 실은 연구 논문(저항성 운동 후 근육 회복 및 성장을 위한 과학적 근거 기반의 단 생활습관 | 박진호 | 2021-12-09 12:57 [천일염 스토리] 국내산 천일염이 탈모 증상 완화를 돕는다? [천일염 스토리] 국내산 천일염이 탈모 증상 완화를 돕는다? 생활습관 | 박진호 | 2021-12-09 10:20 코로나-19 도중 온라인 ‘홈트’, ‘정신 건강에 도움’ 확인 코로나-19 도중 온라인 ‘홈트’, ‘정신 건강에 도움’ 확인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가정에서 온라인 홈트레이닝(일명 ‘홈트’)을 4주간 받도록 했더니 스트레스 점수가 18%가량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우울 점수는 감소 폭이 더 컸다. 코로나-19로 영업을 중단한 헬스장이 늘면서 홈트는 최근 큰 관심을 끌고 있다. 8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건국대 글로컬 캠퍼스 김주영 교수팀이 20∼50대 건강한 남녀 150명(남녀 각각 7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홈트 프로그램을 4주간 수행한 결과 스트레스와 우울은 줄고 자기 효능감은 증가했다. 이 연구 결과(코로나 19 팬데믹 생활습관 | 박하연 | 2021-12-08 09:10 [천일염 스토리] 천일염 목욕으로 디톡스(제독) 하세요! [천일염 스토리] 천일염 목욕으로 디톡스(제독) 하세요! 생활습관 | 박하연 | 2021-12-07 10:20 커피와 차가 치매ㆍ뇌졸중 예방 돕는다 커피와 차가 치매ㆍ뇌졸중 예방 돕는다 커피와 차가 치매ㆍ뇌졸중 예방을 돕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예방 효과는 하루에 커피를 2∼3잔 마시거나 차를 3∼5잔 마시는 사람에게서 가장 두드러졌다. 2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미국의 건강 전문 매체 ‘에브리데이 헬스’(Everyday Health)는 ‘커피와 차가 치매ㆍ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나?’(Can Coffee or Tea Help Prevent Dementia and Stroke?)란 제목의 17일자 기사에서 ‘그렇다’는 근거를 제시했다. 미국의 유명 의학 학술 전문지(PLOS Medicin 생활습관 | 박하연 | 2021-11-23 11:43 커피 섭취가 파킨슨병 치료에 도움 커피 섭취가 파킨슨병 치료에 도움 커피 섭취가 파킨슨병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 논문이 국내에서 나왔다. 284명의 신규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에서 커피를 마신 사람이 마시지 않는 사람보다 떨림(tremor)이 적었다. 4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원광대 산본병원 신경과 손일홍 교수팀은 “커피 섭취나 흡연이 파킨슨병 발병 위험과 반비례적인 관계에 있다는 역학조사 결과가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 논문(커피, 담배, 술이 파킨슨병에 미치는 영향)은 대한신경과학회지 최근호에 총설로 소개됐다. 커피 섭취와 파 생활습관 | 박하연 | 2021-11-04 09:59 처음처음12345678910다음다음다음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