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12 13:29 (화)
이제는 심장판막수술 전 조기사망률을 계산할 수 있다
이제는 심장판막수술 전 조기사망률을 계산할 수 있다
  • 한수화
  • 승인 2020.07.07 16: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심장판막수술, 조기사망 위험 예측법 개발
-기존의 해외 예측법이 아닌 한국인 맞춤형 예측모델
-조기사망률 예측인자에 따라 총 17단계의 위험지수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한광협)은 ‘심장판막수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한국형 위험예측모델의 개발’ 연구를 통해 심장판막 수술을 시행하기 전 환자 수술 후 조기 사망률을 계산할 수 있는 위험 예측법을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이사장 김웅한)와 국내 최초로 공동 개발했다고 오늘 밝혔다.

조기 사망 위험 예측법은 조기 사망률(수술 후 30일 이내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로 만들어진 도식으로, 환자 개별 상태를 확인해 도식에 대입하면 수술 후 사망 위험 정도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연구진은 2017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전국 9개 상급병원에서 심장판막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4,766명을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해 조기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인자 13개를 밝혀냈다.

연구 결과 조기 사망률 주요 예측인자는 연령, 심부전 중증도(NYHA class), 수술의 긴급성, 만성질환(당뇨, 뇌혈관질환 등) 여부, 심장수술 이력, 관상동맥우회수술 동반 등으로, 해당 여부에 따라 위험 지수가 -1~15까지 총 17단계로 나누어졌다. 80세 이상 고연령층일 경우, 신장기능이 떨어질 경우, 수술이 긴급할 경우에 위험 지수가 2단계씩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단계에 해당하는 위험지수 ‘-1’ 단계에서는 조기 사망률이 0.3%였으며, 가장 상위단계인 위험지수 ‘15’에서는 80.6%로 단계가 높을수록 조기 사망위험도 함께 상승했다.

이번 연구로 개발된 ‘조기 사망 위험 예측법’은 심장판막수술에 대하여 한국 환자들을 대상으로 그 예후를 예측하는 국내 최초의 위험 예측 모델로 의미가 크다. 현재까지 의료현장에서는 미국과 유럽에서 개발된 해외 예측법을 주로 사용해 왔다.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한국인 환자에게 적용할 때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제기돼 왔다.

연구책임자인 서울아산병원 김준범 흉부외과 교수는 “이 예측법은 임상현장에서 개별 맞춤형 치료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수술 위험성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는 데 좋은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 연구책임자인 보건의료연구원 김윤정 부연구위원은 “기존 해외 예측법과는 달리 심장수술의 종류를 세분화해 심장판막수술만을 위한 특성을 고려했다는 측면에서 연구결과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 다른 종류의 심장수술 위험 예측법을 개발하는 데 모범적 선례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심장판막수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한국형 위험예측모델의 개발’ 연구 보고서 원문은 보건의료연구원 홈페이지(www.neca.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