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09:43 (목)
심장정지 환자 심폐소생술 받으면 생존율 46배 증가
심장정지 환자 심폐소생술 받으면 생존율 46배 증가
  • 부수빈
  • 승인 2020.07.15 10: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심폐소생술 일반인ㆍ전문가 중 누가 해도 생존율 엇비슷
- 병원 밖 심장정지 환자의 평균 생존율은 19.3%
- 서울시립대 최병호 교수팀, 심장정지 환자 8,654명 분석 결과

급성 심장정지 환자가 병원 밖에서 심폐소생술을 받은 경우 심폐소생술을 받지 않은 환자에 비해 생존율이 46배나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비의료 등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해도 전문가가 했을 때와 생존율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월 15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서울시립대 도시보건대학원 최병호 교수팀이 질병관리본부의 2016년도 급성심장정지 조사 자료를 사용해 병원 밖 심장정지 환자 8,654명의 생존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병원 밖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 요인 분석)는 대한보건협회가 출간하는 ‘대한보건연구’ 최근호에 소개됐다.

조사한 병원 밖 심장정지 환자의 평균 생존율은 19.3%(8,654명 중 1,725명)이었다. 남성의 생존율이 여성보다 3.3%p 높았다. 응급실 도착 전에 특별한 의료 지식이 없는 일반인으로부터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의 생존율은 심폐소생술을 일체 받지 않은 환자의 46.4배였다. 전문가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의 생존율은 47.0배로 엇비슷했다.

최 교수팀은 논문에서 “심폐소생술의 시행 여부가 병원 밖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심폐소생술 행위자(일반인ㆍ전문가)의 의료 기술에 따른 생존율 차이는 별로 없다”고 지적했다.

기존 연구에서도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이 병원 밖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우리나라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율은 10년 전보다 8.8배 증가한 16.8%지만 미국(41%)ㆍ스웨덴(77%)ㆍ일본(31%) 등과는 아직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번 연구에선 심장정지 후 병원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을수록 환자의 생존율이 높았다. 심장정지 후 병원 도착까지 걸린 시간이 20분 이상인 환자를 기준으로 했을 때 8분 미만 환자에선 생존율이 3.1배, 8∼11분인 환자에선 2.7배, 12∼19분인 환자에선 1.8배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